통합검색

식지않는 열정,청암대학교

[출판물] 지식장의 변동과 공중위생(신체정치 연구총서 2)
작성자 : 재일코리안연구소 작성일 : 2021-06-28 15:27
파일
첨부파일참조

책소개 “서양 의료체계의 헤게모니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핀다.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제의 위생 인식과 계몽내용을 다룬다. 일본과 독일의 의학지식이 사회정책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비교 검토한다.” 이것이 2019~2020년 공동연구의 목표였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료의 한계로 고통받기도 했고, 전공을 뛰어넘는 확장된 문제의식을 완전히 확보한 것도 아니었다. 그러나 대체로 공동연구의 목표를 이룩했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그 결과를 이 책 1부, 2부, 3부로 실었다. 목차 머리말 1부 근대의 ‘의료 지식’과 공중위생 1910년대 의약품 광고의 ‘과학’과 주술 |최규진 Ⅰ. 머리말 15 Ⅱ. ‘과학 만능시대’와 신체 18 Ⅲ. 세균과 전쟁 34 Ⅳ. 맺음말 44 식민지 초기 조선의 위생풍속에 대한 식민권력의 이중성: 미신담론을 중심으로 |황익구 Ⅰ. 머리말 51 Ⅱ. 위생경찰과 미신 담론 58 Ⅲ. 위생풍속 조사와 미신 담론 61 Ⅳ. 교과서 속의 미신 담론 67 Ⅴ. 식민통치 권력의 잡지 속 미신 담론 70 Ⅵ. 맺음말 75 조선총독부 발행 1910·20년대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최재성 Ⅰ. 머리말 83 Ⅱ. 1910년대 초 대한제국 교과서를 ‘정정’한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87 Ⅲ. 1910년대 중후반의 조선총독부 첫 편찬 교과서 97 Ⅳ. 1920년대 ‘신 교육령’ 시행 후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108 Ⅴ. 맺음말 118 조선총독부 발행 1930~40년대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최재성 Ⅰ. 머리말 127 Ⅱ. 1930년대 초중반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129 Ⅲ. 1930년대 말 이후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140 Ⅳ. 맺음말 156 1930, 40년대 대중잡지에 나타난 의학상식:: 󰡔家庭之友󰡕·󰡔半島の光󰡕을 중심으로 |이병례 Ⅰ. 머리말 165 Ⅱ. 가정건강과 여성의 신체 사이에서 170 Ⅲ. 전쟁담론의 재생·강화 183 Ⅳ. 맺음말 198 1935-36년 자이니치(在日)의 의료 일상: 󰡔民衆時報󰡕의 의료 광고를 통해 |김인덕 Ⅰ. 서론 203 Ⅱ. 일제강점기 신문 광고와 󰡔民衆時報󰡕의 광고 206 Ⅲ. 󰡔民衆時報󰡕의 의료 광고 217 Ⅳ. 결론 223 2부 전염병과 사회관리 근대전환기 호열자의 유행과 천도교의 대응 |성주현 Ⅰ. 머리말 229 Ⅱ. 호열자의 유행과 예방 231 Ⅲ. 동학 시기 호열자에 대한 인식과 대응 240 Ⅳ. 천도교 시기 근대위생의 수용과 호열자에 대한 대응 246 Ⅴ. 맺음말 258 근대(1876-1945) 한국사회의 전염병 인식과 간호사의 융합적 역할 |정은영 Ⅰ. 서론 263 Ⅱ. 본론 265 Ⅲ. 고찰 276 Ⅳ. 결론 및 제언 278 1946년 경기 지역의 콜레라 사태와 종전/해방 직후 국제·일국·지역 정치 |임종명 Ⅰ. 머리말: 1946년 콜레라 만연과 미군정의 정당성 위기 283 Ⅱ. 인천 지역의 콜레라 발병·확산과 국제정치 291 Ⅲ. 연안·도서 지역의 콜레라 만연과 일국·지역 정치 308 Ⅳ. 맺음말: 경기 지역 콜레라 사태의 종전/해방 직후 정치성 325 ‘질병으로부터 안전한 공간’ 관리와 공간권의 사회사: 19세기 독일 전염병 확산 시기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나혜심 Ⅰ. 머리말 331 Ⅱ. 전염병 확산과 ‘공간’ 관리의 역사 336 Ⅲ. 19세기 독일의 산업화와 도시 속 공간의 불평등 현상 344 Ⅳ. 맺음말 359 3부 의료와 정치, 제국과 인종 한위건의 초기 생애와 3·1 독립운동 참여 과정 톺아보기: 생애 초기 규명과 경성의학전문학교 특성 고찰을 중심으로 |하세가와 사오리·최규진 Ⅰ. 머리말 367 Ⅱ. 한위건의 생애 초기 규명 369 Ⅲ. 경성의학전문학교가 한위건에 미친 영향 375 Ⅳ. 한위건의 3·1운동 참여 과정 383 Ⅴ. 맺음말 392 ‘인종개량’과 ‘역선택’ 사이에서: 근대일본의 ‘우생결혼’ 담론을 중심으로 |서동주 Ⅰ. 머리말 397 Ⅱ. ‘우생학’, ‘인종개량’을 위한 ‘학지(学知)’ 400 Ⅲ. ‘우생결혼’과 ‘화류병’이라는 ‘적’ 410 Ⅳ. 우생론자의 ‘불안’과 ‘파국의 상상력’ 418 Ⅴ. 맺음말 425 일본 미군 점령기의 혼혈 담론 |박이진 Ⅰ. 머리말 Ⅱ. ‘대동아공영권’과 혼혈론 Ⅲ. 점령이 낳은 혼혈아: 점령기 혼혈아 문제 Ⅳ. 점령의 유산 혼혈아: 강화조약 발효 직후 분출하는 혼혈아 담론 Ⅴ. 흑인계 혼혈아의 ‘차별구조(racism)’가 의미하는 것 Ⅵ. 맺음말 731부대에 대한 민족주의적 ‘소비’를 넘어서 : 731부대 관련 사진오용 사례와 조선 관계 자료 검토를 중심으로 |하세가와 사오리·최규진 Ⅰ. 들어가며 Ⅱ. 한국의 731부대 관련 주요 사진오용 사례 검토 Ⅲ. 731부대 관련 조선 관계 자료와 연구 주제 검토 Ⅳ. 결론을 대신하여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71867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