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학과별 사이트
바로가기

청암대학교 치위생과

컴퓨터활용(Computer science Practice)

컴퓨터 사용에 관한 기초적인 사항을 토대로 package를 이용하여, 치과 의료보험 청구 및 환자관리와 업무관리의 체계적 정리, 보관 등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생활영어(Living English)

국제사회에서 영어의 비중이 날로 확대되어감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세계화 추세에 맞추어 국가 경쟁력 및 개인의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영어회화 능력을 배양한다.

대학생활의 이해(Understanding of college life apprehension)

학생들의 올바른 학교 생활적응과 전문직관 확립을 돕고 진료 설정 및 개인 능력 향상을 지도하여 경쟁력 있는 전문의료인을 배양한다.

치아형태학(Dental Morphology)

치아의 형태와 구조에 관한 전반적인 용어, 유치와 영구치의 개요, 각 치아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교합의 기초적 지식을 배우는 과목이다.

구강조직 및 발생학(Oral Histology Embryology)

일반조직 및 발생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바탕으로 구강영역에서의 특수한 조직, 특히 치아에 대한 조직학적 및 발생적 고찰을 통하여 구강조직에 대한 이해를 돕고 환자 진료시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예방치과학 및 실습(Preventive Dentistry practice

지역사회의 구강보건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구강건강의 개념과 의의를 숙지하고 구강병의 원리와 진행과정을 이해하여 효과적인 예방처치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강생리학(Oral Physiology)

인체 각 기관의 생리적 기능을 파악하고 구강 생리와의 연관성을 이해하여, 인체의 전반적인 생리적 작용에 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치아형태학 및 실습(Dental morphology practice)

치의학의 기초가 되는 학문으로 구강내에 맹출하는 유치, 영구치의 종류와 개개치아의 형태학적 특성 등을 모형 실습을 통하여 도안 관찰하여 각 치아의 형태감별 할수 있도록 교육한다.

치과재료학 및 실습(Dental Materials Practice)

현재 임상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여러 가지 치과재로의 특성과 취급 법을 이해하고 숙지하여 실제 임상에 적용 시 잘 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치면 세마론 및 실습Ⅰ. Ⅱ.Ⅲ.Ⅳ.Ⅴ (Theory of oral prophylaxis Practice )

구강질환과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침착 물을 제거하는 방법들에 대한 지식과 치면 세마하는 과정에 필요한 기술을 터득하도록 하여서 포괄적인 구강위생관리에 대한 총괄적인 개념이 정립되도록 한다.

치과보존학(Operative dentistry)

치아보존의 개념과 이론을 배우고 수복을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와 치료방법을 숙지하여 임상적응시 진료의 질을 향상하고 원활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치과 교정학(Orthodontics)

치아, 치주조직, 하악골 및 안면의 정상적인 성장발육을 연구하고, 비상적인 성장 발육에 의해 야기되는 부정교합과 안면의 비정상관계를 개선하고 구강의 바른 기능을 알 수 있도록 교육한다.

치과방사선학 및 실습(Dental Rodioloty Practice)

방사선은 각종 질환의 진단과 악성종양의 치료뿐만 아니라 생물학, 공학 등 많은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므로 이에 맞추어 방사선 진단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 및 다양한 방사선이 임상이나 교육에서 실제 응용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치주학(Basal Periodontology)

치주질환의 발병 원인과 진행과정 또 치주 질환의 예방법 등을 숙지하여, 치주 건강 유지관리 능력을 익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공중 구강보건학(Oral public health)

지역사회 및 일반 대중 집단의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예방업무 및 구강보건 통계 등을 학습하며 지역사회 구강보건 향상에 중요한 역할과 업무를 담당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소아 치과학(Pedodontics)

유치, 혼합 치열 기 및 영구치의 유지와 수복, 치아우식증과 치주 병의 치료와 예방 및 예방교정을 포함하여 어린이의 치아와 구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치과 보철학(Prosthodontics)

치아들이 일부 또는 전부 상실되었을 때 저작, 발음기능, 악관 절 기능 및 심리적인 면을 위해서 관교의치, 국고의치, 총의치 등과 같은 보철물에 관해 배우는 분야이다.

구강 외과학(Oral Surgery)

구강 및 하악 안면에 발생한 질병, 손상, 형태이상을 연구하며, 낭종, 농양, 종양 및 정형, 성형, 조직이식, 발치 등을 이해하며 진료하는 과정을 익힌다.

구강병리학(Oral Pathology)

신체 전반의 일반병리를 파악하고, 구강병리와의 연관성을 이해하여, 구강질환 치료에 필요한 기본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교육한다.

의료관계법규(Health Relation Legislation)

의료기사로서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의료관계 법규의 깊은 이해와 숙지가 필요하며 국가고시에도 필수적 과목이다. 모법을 중심으로 해당 법조문과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병행 지도한다.

지역사회구강 보건학 및 실습(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도내의 지역사회 주민들의 구강보건 향상을 위해 계획안을 설정, 실행 및 평가함으로써 직접 참여할 기회를 부여한다.

치과건강보험및실습(Dental Insurance Practical dusiness)

의료보험의 요양금여비 중에서도 구강진료비를 산정하는 기준과 방법등을 익혀서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치과 의료보험 청구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치의학 용어(Oral medical Terminology)

임상에서 사용하는 기초 치의학용어를 어원을 중심으로 습득하게 하고 이를 활용하여 치과임상에서 효율적인 진료를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구강해부학(Oral Anatomy)

구강과 구강 주위의 구조 및 형태를 해부학적으로 구분 짓고, 임상치과업무 수행을 위해 안면근 및 악관절, 혈관, 신경 등의 기본 지식을 학습한다.

치위생학 개론(Dental Hygienics)

치과위생사의 발전과정과 주 업무 및 역할에 대하여 총괄적으로 학습하며, 개인 또는 지역사회 대상의 구강보건교육, 예방업무와 치과 진료시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인지하고, 천문치과 의료기술자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분야 및 직업윤리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다룸으로써 미래 치과위생가로의 학습방향을 제시한다.

구강미생물학(Oral Microbiology)

미생물의 생명현상과 인체와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질병의 원인인 미생물에 대한 형태, 구조, 대사과정, 변이 등에 대해 교육한다.

감염 방지학(Infection Control)

치과에 종사하는 모든 직원들은 치과치료를 하는 동안에 교차 감염으로부터 위험한 상태이므로 치과계에서 중요한 감염. 전염의 지식과 질병의 지식을 갖추도록 교육한다.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Oral heath Education Practice)

구강질환의 원인과 예방법을 직접 교육을 통하여 구강보건 인식의 향상을 유발함으로써 구강 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상에 따른 각종교육 매체와 자료의 사용법을 익히고 교육도구를 직접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임상전단계실습(I, II)(Pre-Clinical Practice)

진료실 안에서 행하여지는 기구관리 및 환자관리, 보존, 보철, 교정 외과부분에서 치위생사가 담당하여야 할 업무를 인지시키고, 이론 학습 및 실습을 통하여 업무를 완벽하게 숙달하여 임상현장에서 환자에게 양질의 진료를 제공한다.

치과코디네이터(Dental Coordinator)

치과 병원내의 친절 분위기를 조성하며, 고객의 서비스를 개선하고, 상담예약, 수납, 사후관리 등 각종 업무를 도맡아 처리하며, 직원교육과 실내외의 환경조성을 책임지는 역할을 습득한다.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Oral heath Education   Practice)

구강질환의 원인과 예방법을 직접 교육을 통하여 구강보건 인식의 향상을 유발함으로써 구강 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상에 따른 각종교육 매체와 자료의 사용법을 익히고 교육도구를 직접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구강보건통계학(Oral health Statistics)

치과분야에서 주로 발생되는 구강 환경을 통계 처리하여 구강 내 위생상태를 쉽게 비교 연구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치과위생사 현장실습 Ⅰ,Ⅱ(Placement of the Dental Hygienist Ⅰ,Ⅱ)

교육과정과 연계한 현장 실무역량을 함양하여 졸업 후 치과위생사 의 역할 수행을 원활하게 하고, 직업관에 대한 가치관과 신념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하고 적용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실무능력과 문 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