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학과별 사이트
바로가기

융,복합시대에 부응하는 유아교육 전문가 양성

청암대학교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개론(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에 대한 철학적, 심리적, 사회적 기초 이론과 유아교육의 개념, 정의, 성격 및 목적, 중요성, 특수성을 이해하고, 유아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기초 이론을 다룬다.

유아교육과정(Early Childhood curriculum)

유아교육의 철학적, 심리적, 사회적 기초를 배경으로 유아교육과정 구성의 기초 이론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며, 유아교육 목표의 설정, 교수ㆍ학습 내용의 선정과 단원 구성 및 전개와 장단기 교수ㆍ학습 계획을 비롯한 일일 교수ㆍ학습 계획안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유아음악지도(Music Edcation in Early Childhood)

유아 음악교육의 가치를 인식하고 올바른 음악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기초이론과 더불어 풍부한 음악적 감각을 배양할 수 있는 실기지도 방법을 익힌다.

유아생활지도(Guidance for early childhood)

어린이의 바람직한 성장을 도와줄 수 있는 지도능력을 기르기 위해 아동의 지적, 창의적, 성격 등의 지도방법을 익히고, 아동이 나타내는 행동 특성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상담이나 행동수정 등 문제해결을 위한 기본적인 원리 및 방법을 다룬다.

유아미술교육(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유아 미술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도를 목표로 유아 미술 교육의 중요성 및 유아미술 단계와 미술과의 연관성, 아동미술의 지도 요령등을 익힌다.

기악실기(Practice on instrumental Music)

유아 음악교육에 있어 음악활동을 돕는데 기본적으로 꼭 필요한 건반악기의 연주능력을 연마한다.

유아발달심리(Child Development)

수태에서 아동기까지 일어나는 상승적인 심미적, 심리적 변화의 과정을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는 심리학적 기초지식을 습득케 함을 목표로 발달의 기초적 개념, 인간발달에 대한 제견해, 발달 단계별 특성 이해, 연구 방법 등에 관해 이해한다.

유아사회교육(Soci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유아의 사회성 발달이론의 습득과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 지도의 현대적 동향을 이해하고 유치원 교육 과정에서의 사회교육 영역의 중요 내용 및 지도 요령을 익힌다.

유아언어교육(Languag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유아기 언어발달과 언어 교육 이론의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며, 언어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도요령을 익히고 언어 지도의 실제를 위한 교수방법을 익힌다.

유아창작공예(Creative Art of early childhood)

평면적, 입체적, art play 등 다양한 조형활동의 교육적 경험을 통하여 사물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고 아름다움에 대한 심미적 감정을 풍부하게 하여, 유아들의 창의적인 만들기 활동 지도능력을 기르고, 아동 작품의 감상 및 평가 요령을 익힌다.

유아놀이지도(The Instruction of early childhood Play)

유아 놀이에 관한 다양한 이론 및 최신연구 경향, 놀이 유형, 교육적 가치에 기초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놀이를 지도하는데 필수적인 교수ㆍ학습 방법을 익힌다.

반주법(Accompaniment Method)

가락과 화음을 이해하고 그 곡에 알맞은 반주 모형을 선택하여 즉흥반주 할 수 있는 실기 능력을 실제곡에 적용한 훈련을 통해 유아들의 음악활동을 잘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한다.

부모교육(Parent Education)

부모교육의 역사, 현대적 경향, 부모교육 이론들을 이해함으로써 유아교육에 부모들의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영유아 교육 프로그램(Program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Education)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유형의 유아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 교육내용, 교육방법들을 논의하고 비교한다.

보육학 개론(Theory of Child Care & Education)

영유아 보육사업에 필요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현장사례 및 현장 응용문제를 다룬다.

유아연구 및 평가(Research Methods and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유아들의 발달단계에 나타나는 여러 문제들을 관찰, 분석하고, 아동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분석하여 그 해결방법을 연구한다.

인형극 및 동극실습(A Puppet Play Practice)

인형극과 동극을 통해 유아의 감성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런 의사표현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한다.

유아문학교육(Literatur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유아기에 있어서 문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아동문학 장르를 통해 유아의 정서 발달에 기여하며, 전달매체에 따른 동화교구를 제작하여 동화구연 및 담화 극화활동 등 유아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활동을 연구 발표할 기회를 갖는다.

유아상담지도(The Guidance instruction in Early Childhood)

유아의 문제와 가족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한 상담기법과 이의 적용에 필요한 기본 기술을 습득한다.

유아전통음률교육(Education of Traditional Rhythm for Early Childhood)

우리 전통 문화와 예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음악을 통해 경험함으로써 우리 노래, 우리 춤, 우리 악기 등의 올바른 교육 및 지도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Administration of Kindergarten)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경영 실무자 및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들에게 요구되는 제반업무 처리의 실제와 관계 법령 등의 이해를 통하여 인사, 사무, 재무, 안전, 교육과정 운영 등의 실무 능력을 체득케 한다.

영유아 복지(Child Welfare)

영유아 복지에 필요한 법적, 이론적 근거를 분석, 탐구하고 복지 사업에 따르는 모든 기구와 시설 운영 관리를 이해하며 유아복지 증진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유아복지 프로그램 운영 요령을 습득시킨다.

초등교육론(Primary Education Theory)

유아기가 단순한 초등학교 입학하는 준비기에서 벗어나 초등학교에 연계될 수 있는 기반요체로서 교육의 계속성에 근거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교육학 개론(Introducation to Education)

교육의 정의, 본질, 기본과정, 교육의 과정과 목적, 사회, 경제 교육과 문화ㆍ역사적 기초, 현대교육의 사조, 교사의 자질, 교직의 전문성 교육 체제 등을 교수ㆍ학습한다.

교육철학 및 교육사(Educational Philosophy and History)

교육사 및 교육철학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교육사 교육철학 방법론, 교육의 철학적 이해, 한국 교육사의 이해, 서양 교육사의 이해에 역점을 둔다.

교과 교육론(Education of Subject Matters)

교육 주제나 단원에 따라 모든 교과를 통합하여 교육계획안을 작성, 교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Research of Teaching Method & Teaching Material)

교과 교재에 관련된 이론과 교수ㆍ학습 이론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유아 지도법을 탐색케 하고 유아의 교수ㆍ학습 활동에 필요한 교재개발, 교재 제작, 교재 분석과 이에 따른 이론과 실기 교육을 통하여 실제 경험을 얻도록 한다.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Educational Administration & Management)

교육행정 및 경영을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이해하고, 타학문과의 연계를 통하여 교육행정의 발달, 교육조직이론, 지도성 이론, 교육 인사행정, 장학행정, 중앙과 지방의 교육행정 조직, 의사소통과 의사 결정, 사회 및 산업교육행정 등을 이해한다.

교육과정 및 평가(Curriculum and Educational Evaluation)

교육과정과 평가의 기본적인 개념, 원리 등과 교육 과정 개발요령을 익히고 현행 교육과정의 특성과 교육과정의 편성 능력을 기른다.

교육심리(Psychology of Education)

유아교육에 필요한 교수학습의 심리학적 원리를 교수하여 교육방법의 능률화를 기하고 아동의 신체발달, 정서, 사회성, 성격 등의 제반사실과 법칙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서 현대교육의 적합한 아동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의 심리학적 기초를 확립한다.

교육실습(Fieldwork in Kindergarten)

유치원 현장의 견학 및 실습을 통하여 유아에 대한 이해와 유치원 현장 적응능력, 학급경영능력, 실무 처리 능력 등을 기른다.

보육실습(Fieldwork of Care and Education)

보육실습은 어린이집 교사가 되기 위해 실제 현장에서 보육시설 현장 참관과 현장실습을 해본다. 이 과정에서는 어린이집의 보육내용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영유아들의 발달을 촉진, 미래를 준비시키는데 결정적 영향을 미칠 보육교사로서의 풍부한 지식과 적절한 자질을 갖추기 위한 전문성을 기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