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학 개론 (Principle to Fire Protection)
소방에 관한 개념 및 기초이론을 이해시켜 소방학에 대하여 폭 넓은 시야를 갖도록 하며, 연소 및 소화현상, 화재, 각종 소화약제 등의 소방원론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도 세부적으로 습득하도록 한다.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심리학에서 발전된 여러 가지 이론을 실제 교육의 현장에 직접 적용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으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인간행동의 특성과 학습이론 및 실제적 심리문제 등을 학습한다.
소방전기공학개론 ( Introduction of Fire Protection Electrical Engineering)
소방분야에서 기초가 되는 전기공학을 학습함으로써 소방전기분야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전자기의 기초, 교류회로, 전기계측, 전기기기, 전력공학, 전기응용, 전자회로, 자동제어 등 일반적인 것을 학습하도록 한다
소방시설안전 ((Fire Protection System safety)
소방전기시설과 기계시설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시스템별 설계, 시공, 유지관리 기법을 기초부터 응용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소방시설의 전반적인 신뢰도를 높여 안전도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소방원론(General Fire Protection)
소방에 관한 개념을 비롯한 소방학과 관련된 기초이론을 이해시켜 소방학에 대하여 넓은 시야를 갖도록 하며 연소 및 소화현상, 화재, 각종 소화약제 등의 소방원론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도 세부적으로 습득하도록 한다.
건축소방학(Building Fire Safety)
건축물및 시설물을 대상으로 건축물과 안전, 건축재해의 동향, 위험성상및 특징, 안전성능의 평가, 건축재해의 특성과 대책, 방화계획, 피난계획, 소방지원계획, 기타 재해방지 대책등에 대해 체계적인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재난관리론(Emergency Management Theory)
천재, 인재 및 국가의 위기 등에 이론 및 사례 연구를 통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소방화학(Fire Protection Chemistry)
화학의 이론적 교육을 통해 물질의 성질과 변화에 관한 기본지식을 습득하여 위험물화학 및 약제화학에 보다 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상호 유기적인 일반법칙의 개념을 익히도록 하고, 더불어 위험물 관련 기초 지식을 접목 시키고자 한다. 또한 기초 실험을 통해 이론적 교육내용을 확인하고 각종 실험을 반복 숙달시킴으로써 기구의 조작 능력 및 각 화합물의 특성을 이해시키도록 한다.
해부학 (Anatomy)
인체의 구조와 형태를 계통해부학적 및 국소 해부학적으로 이해함으로서 상화에 적절한 응급구조학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소방행정론(Fire Public Administration)
소방작용이 형성, 전개되는 행정현상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는 현실의 실용과학이므로 소방의 목적인 공공의 안녕질서 유지와 복리증진을 달성하기 위하여 민주적이고 능률적인 수행방법과 절차를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학습시키고자 함.
소방전기회로(Fire Protection Electrical Circuit)
여러가지 전기소자가 결합되어 있는 회로망 이론의 기초를 이해하여, 전기, 전자회로에 대한 판독능력을 키우고, 이들의 회로해석 및 설계방법등의 기초에 대해 습득케 한다.
소방도면해석(Drawing Analysis of Fire Protection)
소방대상물의 건축에 대한 기본원리, 건축방법을 습득하여 건축 및 소방 설비 분야에 응용 할 수 있는 능력과 소방건축 관련 도면의 해석 및 적용능력을 기른다.
소방법규 기초 (Basic of Fire Equipment Code)
각종 화재의 예방에 필요한 법적인 근거로서 소방시설물의 기준 및 규제, 인.허가 사항 등 소방에 관련된 법규를 이해함으로써 타 교과목에서 배운 소방기술을 법적 기준에 의거하여 실제적으로 활용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소방시스템CAD기초(Basic of Fire Protection System CAD)
AutoCAD의 활용 및 응용학습과 소방공학을 바탕으로 소방 시스템의 CAD화, 시스템의 module화, CAD modeling에 대해 학습하고, 소방대상물을 선정하여 소방시스템 운영과 설계능력을 배양하며, 산업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키운다.
위험물질론(Hazard Theory)
현대사회에서 필수 불가결한 다양한 연료를 비롯하여 산업에 이용되는 여러 화학 물질 중 화재위험성이 높은 위험물의 성상 및 화재위험성, 소화방법 등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관리상 유의할 사항을 습득한다.
소방유체역학 (Fire Protection Fluid Mechanics)
관로 흐름의 현상에 적용되는 여러 원리와 법칙, 유체의 성질과 특성을 이해하고 유체의 기본개념을 파악하여 소방설비 설계에 응용하고 체계화시킬 수 있는 지식을 익히도록 한다.
생리학 (Physiology)
인체의 각 기관별 기능과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기전을 이해함으로써 응급구조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한다.
소방체육(Fire Protection Fitness)
소방공무원, 소방안전교육사 및 소박관련 분야의 맡은 바 소임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체력을 함양함다.
소방형법론(Fire Protection Criminal Law)
소방행정조직이 갖고 있는 형법상의 성격, 소방법의 형법적기능, 범죄형태등에 관하여 깊이 인식하고, 소방행정과 접목시켜 소방행정조직이 갖고 있는 형법상 특이성을 학문적으로 비교코자 한다.
소방전기시설론(Fire Protection Electrical System Theory)
소방대상물을 화재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소방시설 중 전기적 분야인 자동 화재탐지, 비상콘센트, 유도등 및 유도표지, 속보, 전기화재, 비상 경보, 가스화재 및 소화설비의 부대 전기설비 등을 단계적 또는 기능적으로 대응시키면서 설비의 구조성능상의 내용을 체계화한다.
소방전기설계실무기초(Basis of Fire Protection Electrical Design Field Manual)
방화관리자나 소방시설 설계자로서 직무수행에 필요한, 소방전기 설비의 설계에 필요한 기본 지식을 학습한다.
소방법규 응용 (Application of Fire Equipment Code)
각종 화재의 예방에 필요한 법적인 근거로서 소방시설물의 기준 및 규제, 인.허가 사항 등 소방에 관련된 법규를 이해함으로써 타 교과목에서 배운 소방기술을 법적 기준에 의거하여 실제적으로 활용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소방시스템CAD응용(Application of Fire Protection System CAD)
AutoCAD의 활용 및 응용학습과 소방공학을 바탕으로 소방시스템의 CAD화, 시스템의 module화, CAD modeling에 대해 학습하고, 소방대상물을 선정하여 소방시스템 운영과 설계능력을 배양하며, 산업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키운다.
소방약제화학(Fire Suppression Agents)
산업 현장에서의 소방관련자들에 대한 소화분야의 전문화를 위한 능력을 배양시킨다.
소방기계시설론(Fire Protection Machine System Theory)
화재발생과 감지와 진압에 필요한 기계적 소방 설비에 대한 기본원리에 대한 기본원리와 작동 System을 설비별 주요구성 요소의 기능을 습득하고, 산업현장 및 소방시설 설계시에 필요한 중점사항을 광범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소방 시설 중 옥내, 옥외소화전설비, 스프링쿨러 설비, 물 분무 등 소화설비, 피난설비 및 기타 소화 활동상 필요한 설비 등의 시설실습을 통하여 소방실무에 적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능력을 기른다.
소방기계시설설계(Fire Protection Machine System Design)
옥내, 옥외소화전설비, 스프링쿨러 설비, 물 분무 등 소화설비, 피난설비 및 기타 소화 활동상 필요한 소방기계설비를 소방법령에 부합되도록 설계하기 위한 설계기법을 실무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하여 현장적응력을 배양한다.
구급 및 응급처치론(Emergency Rescue Theory)
위급상황의 현장에서는 다음 4단계의 응급구조 활동의 원칙, 즉 현장조사, 부상자 및 환자상태에 대한 1차 기본조사, 응급의료서비스 기관에 협조전화, 부상자 및 환자 상태에 대한 2차 조사 등 부상자 및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생존에 위협이 되는 모든 것을 처치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소방국어 ( Korean of Fire Protection)
소방공무원 시험 기출 문제를 중심으로 국어의 기본적 이해와 응용을 통해 소방공무원 임용시험에 대응할수 있는 기본 소양을 함양한다.
현장실습(Field Training)
소방관련 산업분야에서 현장실습을 통하여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를 하고 통계를 분석하여 안전대책을 마련 시행할 수 있는 실무적인 지식을 기른다.
소방전기설계실무응용(Application of Fire Protection Electrical Design Field Manual)
자동 화재탐지, 비상콘센트, 유도등 및 유도표지, 속보, 전기화재, 비상경보, 가스화재 및 소화설비의 부대 전기설비 등 소방전기설비 설계에 필요한 실무 지식을 학습한다.
소방 시공/감리(Fire Protection Construction/Supervision)
소방시설의 시공, 감리 등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이들 설비의 관계법규의 적용 및 시공법, 시공업무, 공사의 계약제도, 시공계획을 이해하며 직접적인 소방관련 업무를 학습한다.
위험물시설론(Hazzardous System Theory)
가스계를 비롯한 포, 분말 및 청정 소화약제 화학을 정리하고 위험물을 다루는 제조소, 저장소, 취급소 등에 애한 시설론을 학습하여, 더불어 석유화학 플랭트 설계 시공시 알아야 할 소방화학 실무내용을 발전소 및 원자력 발전소를 포함한 전반적인 내용을 폭넓게 다루고자 하였다.
화재 모델링(Fire Modeling)
화재발생 및 확산과정의 공학적 예측을 위한 컴퓨터 화재모델 프로그램을 통하여 화재결과를 예측하고 다양한 대책을 확보할 수있는 역량을 학습한다.
소방경보시스템(Fire Protection Alarm System)
화재 발생시 소방대상물의 인명을 신속히 대피시키기 위한 경보시스템에 대하여 그 기능을 이해하고 현장과 대응시킬 수 있도록 기술한다. 이를 위해 자동화재 탐지설비를 비롯하여 자동화재 속보설비, 누전경보기, 비상경보 및 방송설비, 가스누설경보 설비에 대한 구조 및 원리, 법적사항, 점검실무에 대하여 학습한다.
화재조사 및 감식(Fire Investigation)
화재는 실험이 불가능한 분야로 실제 화재조사는 차후 화재의 예방 및 화재안전계획의 수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화재의 원인조사, 연소이론, 화재원인별 조사 및 감식 등의 능력을 배양한다.
방화방폭공학(Fire Explosion Protection Engineering)
방화설비의 설계, 화재예방 및 소화활동 등의 화재대책을 행하기 위해서 화재의 연소현상, 화재의 원인, 화재의 예방과 검출방법, 소화 등에 관한 다방면의 지식을 학습하며, 폭발 및 화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 및 폭발 재해의 상태나 원인을 철저히 파악하고, 피해범위 및 피해정도를 정성적 및 정량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소방정책론(Fire Protection Policy)
소방분야는 공공성이 강하여 국가의 제도적 법률적인 요인인 소방정책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국가의 소방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이해하며, 재난관리 시스템의 체계적인 이해와 실무능력을 배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