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의 이해(Understanding College life)
병원 의료분야의 광범위한 학문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학생과 개별적, 집단적 상담을 통해 사회에 이바지 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수 있게 하는 데 목표를 둔다.
사회봉사(Social service)
사회문제의 예방 및 해결 또는 국가의 공익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봉사조직의 자발적 으로 참여하여 영리적인 보상을 바지 않고서도 인간존중의 정신과 민주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낯선 타인을 상대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사회의 공동선을 고양시 킴과 동시에 이타심의 구현을 통해 자기실현을 성취하고자 하는 활동이다.
대학영어(CollegeEnglish)
국가 및 국제 경쟁력에서 생존할 수 있는 전문 직업인을 양성 하는데 필요한 영어회화 구사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생활한문(Practical Chinese Character)
한자의 구성원리, 필순, 기본부수의 학습을 기초로 일상생활에 널리 쓰이는 한자를 습득하여 일상생활, 전공학문, 관련업무영역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일본어(Practical Japanese)
일본어의 구성원리, 필순의 학습을 기초로 원어민의 정확한 발을을 듣고, 말하는 연습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외국인에게 정확한 의사소통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공중보건학개론(Principiples of PublickHeal)
공중보건학은 사람들(공중)의 건강(건)을 보호(호)하는 것이다.즉 사람을 위한 학문 및 실천적 활동을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인간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질병 예방, 건강증진, 개인과 집단의 보건관리의 개념을 이해하고 나아가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환경보건, 산업보건, 인구보건 등에 대해 학습한다.
병원관리학(Hospital Management)
병원관리학은 의학, 보건학 등 health science 전공자로 하여금 병원관리의 기본적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의 변화된 병원환경과 병원의 새로운 대응 방식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도록 한다. 병원관리에 필요한 최근의 이론적 틀을 익히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의학용어(Medical and Dental Terminology)
보건 의료 분야에 관련되어 사용되는 전문 용어의 개념을 습득케하여 전공과목의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육한다.
보건의료관계법규(Health Act)
법의 일반적 이해와 보건의료와 관계되는 각종 법을 교육하여 보건의료분야에 종사하게 될 학생은 물론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심을 고취시키며 국민건강 향상과 증진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한다.
해부생리학(Introductory human anatomy)
인체해부학은 인체의 구조와 구성요소들의 형태를 파악하는 학문이며, 인체생리학은 이런 구조물들의 기능, 과정, 활동, 현상 등을 규명하는 학문으로, 이들은 의학의 기본이라고 하겠다. 본 수업에서는 병원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접하게 되는 다양한 의학 용어들을 무리없이 숙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반복과 이해를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의공학개론(Introduction to BiomediacalEngineering)
한방의료학(Oriental Medicine)
의무 기록 관리학(Medical Record Management)
보건 의료 전산학 및 실습(Practicein Health & Mediacal Computer)
임상의학용어(clinical Medical Terminology)
해부병리학(Anesthesiology and pecovery)
병원서비스코디네이터(Hospital Service Coordinator)
보건통계학(Biostatistics)
질병 및 수술분류(Classification of Disease & Operation)
진단기기학실습(Equipment for Diagnosys and Lab)
의료보험(Medicallnsurance)
의료정보관리학(MedicalInformation Management)
보건 의료 DB실습(Practice in Health Care Database)
병원 원무/보험 관리(Hospital Insurance Management)
의무기록전사(MedicalRecord Transcription)
적정진료보장(Quality Administration)
의료서비스 용어(Health Service Terminology)
치료기기학실습(Practice in Equipment for Treatment)
병원조작인사관리(Hospital ORGANIZATION & human Administration)
암등록(Registration of Cancer)
의무기록 실습 Ⅰ Ⅱ(Practice in Medical Record Ⅰ Ⅱ)
의료 기기 안전 관리학(Safety Management of Medical Instruments)
병원회계재무(Hospital Accounting and financial)
생체 재료 및 생체역학(Biomaterials & Biomechanics)
병원정보시스템(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보건학원론(Principles of health Services Management)
보건 행정 실습(Practice in Public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