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영어(Practical English)
국제사회에서 영어의 비중이 날로 확대되어감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세계화 추세에 맞추어 국가 경쟁력과 개인의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일상 및 업무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어회화 능력을 배양한다.
컴퓨터 활용(Practical Use of Computer)
효율적인 문서 작성, 편집 및 처리를 위하여 기본적인 타자능력과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을 익히고, 스프레드시트의 기본개념을 습득하여 자료의 분류 및 분석 능력을 제고하여, 인터넷의 개념과 다양한 서비스 유형을 익혀 정보 획득 및 활용능력을 향상시킨다.
생활과 문학(Living and Literature)
실용문을 통하여 사회에 유용한 실질적인 학습을 하는 동시에 문학을 통하여 정서적이고 문학적인 감성을 지니게 교육과정을 작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용문의 작성과 발표, 그리고 문학의 유형과 그 감상기법을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과제를 부여하고 그 결과를 발표케 한다.
운동 생리학(Exercise Physiology)
체육활동을 통한 신체의 생리적 현상에서 오는 반응과 적응을 이해하고 운동의 양적? 질적 변화에 대응하는 신체의 변화를 고찰하여 운동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전을 이해한다.
사회체육개론(Introduction to Sociology of Physical Education)
현대생활에서 사회체육에 지식?방법 등을 과학적 조사?분석?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생활체육 현장에서의 체육활동을 선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트레이닝 방법론(Method of Training)
체력의 요인을 구분하고 각 체력 요소를 과학적으로 훈련시킬 수 있는 다양한 트레이닝 방법들을 이해하여 생활체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 능력을 기른다.
볼링(Bowling)
볼링의 특성과 실시방법 및 효과를 이해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볼링의 전문적인 기술습득 및 기능을 익힌다.
태권도(Taekwondo)
우리나라의 전통 무예인 태권도의 역사ㆍ유래 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기 수련과 방어 능력을 기르기 위해 태권도의 기초적인 동작?품새?겨루기 등을 습득한다.
수영(Swimming)
수영에서의 자유형ㆍ평영ㆍ배영?접영의 영법을 익혀 생활체육 지도자의 자질을 향상하고, 수상에서의 안전과 인명구조를 위한 응용기술을 습득한다.
스쿼시(Squash)
실내에서 행하는 유산소성 운동으로서 스쿼시의 역사, 유래, 운동의 효과 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스쿼시에 대한 기본 기술 및 전문 기술을 습득하여 기초적 지도 능력을 익힌다.
테니스(Tennis)
테니스의 역사, 유래, 운동의 효과 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테니스에 대한 기본 자세와 기초기술을 습득하여 테니스의 기초적 지도 능력을 익힌다.
배드민턴(Badminton)
배드민턴의 역사, 유래, 운동의 효과 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배드민턴의 기초 기술은 물론 경기 규칙, 경기 요령 등을 익혀 실질적인 경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동계스포츠(Winter Sports)
겨울 기간에 행하여지고 있는 레저스포츠를 중심으로 스키?스케이트 등의 동계 스포츠 종목에 대한 기초기술을 익히고 겨울 스포츠에 대한 안전관리를 숙지하도록 한다.
하계스포츠(Summer Sports)
여름 기간에 행하여지고 있는 레저스포츠를 중심으로 수상 스키?스킨스쿠버 등의 하계 스포츠 종목에 대한 기초기술을 익히고 수상스포츠에 대한 안전 관리를 숙지하도록 한다.
골프(Golf)
현대사회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골프에 관한 기본적인 이론과 기초적인 실기 동작을 익히고 필드에서의 응용 기술을 체험하여 생활체육 지도자의 자질을 함양하고자 한다.
스포츠 에어로빅(Sports Aerobic)
에어로빅 운동을 통하여 신체의 완전한 대사작용을 경험하고 정신적ㆍ육체적으로 조화있는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댄스스포츠(Dance Sports)
댄스스포츠에 대한 기초적인 기술과 경기 방법 등을 익혀 생활체육 지도자로써의 다양한 스포츠 종목을 체험하고,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건전한 레저스포츠로 보급될 수 있도록 한다.
실내스포츠(Indoor Sports)
실내에서 행할 수 있는 농구?배구?핸드볼?탁구 등의 실내 스포츠 종목에 대한 기초 기술을 익혀 생활체육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실외스포츠(Outdoor Sports)
실외에서 행할 수 있는 축구?야구?오리엔티어링 등의 스포츠 종목에 대한 기초기술을 익혀 생활체육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전문실기Ⅰ-1, 2(Major Event of Exercise TechniqueⅠ-1, 2)
개인의 적성에 알맞은 테니스?골프?수영의 운동 종목을 선택하여 전문적인 이론과 기능을 익혀 생활 체육 지도자의 자질을 심화하도록 한다.
전문실기 Ⅱ-1, 2(Major Event of Exercise Technique Ⅱ-1, 2)
개인의 적성에 알맞은 스쿼시?배드민턴?볼링의 운동 종목을 선택하여 전문적인 이론과 기능을 익혀 생활체육 지도자의 자질을 심화하도록 한다.
스포츠마사지(Sports Massage)
스포츠마사지의 활용성과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스포츠 현장에서 사용되는 수기 요법의 기초 기술과 응용기술을 익힌다.
레크리에이션(Recreation)
일상생활과 직장생활에서의 여가활동과 건전한 놀이문화를 생활화하고 자신의 리더십을 기르기 위해 레크리에이션의 기법과 능력을 익힌다.
민속무용(Folk Dance)
세계 여러 나라의 토속적인 무용에 대해 이해하고 기본적인 민속 무용의 기능을 습득하여 각국의 민족적인 풍습을 익혀 세계화?국제화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한국적인 자긍심을 고취시킨다.
항공스포츠(Aviation Sports)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갖고 겸허하게 순응하며 항공 법규을 습득하여 항상 자연을 진지하게 정신적 신체적으로 항공스포츠를 이해하고 습득한다
지상스포츠(Above Sports)
레저스포츠를 중심으로 지상에서 이루어지는 승마, 사이클, 등산, 야외활동 등을 중심으로 기술적인 면과 지도력 등을 길러 현장에서의 적응능력을 길러주고 안전관리를 숙지하도록 한다.
체력 측정 및 평가(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Fitness)
신체활동의 유형과 영역 등을 표집?수행?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 방법을 터득하여 운동 수행능력의 향상을 과학적?통계적으로 평가?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힌다.
스포츠 경영 관리학(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Sports)
스포츠 현장에서의 행정과 사무적 관리 체계를 명확하게 이해하여 생활체육 지도자로써 스포츠 행정 및 관리에 따른 원활한 조치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운동처방론(Exercise and Prescription)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체력 증진 및 유지를 위하여 운동에 대한 적절한 강도?빈도?시간?형태 등을 분석?적용할 수 있는 지도 능력을 기른다.
스포츠 심리학(Sports Psychology)
스포츠 수행에서 중요시되는 내적?외적 변인으로서의 성격?동기?경쟁불안?공격?응집?사회적 촉진 등의 문제들을 이해한다.
구급 및 안전관리(First Aid and Safety Management)
체육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급처치와 구급처치에 대한 지식이나 기능을 습득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장 실습(Field Training)
대학 교육에서의 전문적인 체육 이론과 실기를 바탕으로 생활체육 현장을 직접적으로 체험함으로서 사회진출시 현장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자신의 전공에 대한 자신감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태권도개론(Introduction of Taekwondo)
한국고유의 무예인 태권도가 세계적인 무예로 발돋움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학문적인 배경을 확립시킬 수 있도록 올바른 역사를 이해시키고 동시에 전반적인 태권도의 제반 기초이론을 습득하도록 한다.
태권도 유급자품새(Taekwondo Stipendiary Shape)
태권도의 품새 중 유급자가 수련하는 태극 품새를 체계적인 수련방법을 통하여 이론적인 배경과 실기능력을 겸비하여 기본동작과 품새의 원리를 이해하고 습득한다.
태권도 유단자품새(Taekwondo Stipendiary Shape)
품새는 상대방을 가상해 놓고 공격과 방어기술을 스스로 연마할 수 있도록 짜여진 기술체계이다. 각 품새의 외형적 모양새의 총화가 품새 이름이 뜻하는 상상적 형상에 맞추도록 짜여져 있다. 이를 이론적 배경과 실기를 중점지도 하여 태권도의 고단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을 지닐 수 있도록 한다.
태권도 경기규칙 및 심판법(Referee Methods of Taekwondo)
태권도 경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역할이 중요한 태권도 심판으로서 필요한 경기규칙을 익히고 주심의 수신호 등을 연습시켜 공정하고 정확한 심판의 자질과 경기운영 능력을 키운다.
태권도프로그램구성론(Taekwondo Program Planning)
유아 및 초, 중, 고 일반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주간, 월간, 연간프로그램 및 동계, 하계를 위한 계획표 작성요령과 이벤트 기획을 다룬다.
태권도지도법(Teaching Methods of Taekwondo)
태권도의 기초에서 전문분야에 걸쳐 현장교육의 지도원리 방법 등의 이론과 실기를 학습한다. 이 과목은 태권도 사범으로서 현장실습을 연습한다.
스포츠 에어로빅(Sports Aerobic)
에어로빅 운동을 통하여 신체의 대사작용을 경험하고 정신적?육체적으로 조화있는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태권도시범Ⅰ(Taekwondo DemonstrationⅠ)
태권도 동작을 다양하고 고난도의 동작으로 구사하여 태권도의 시각적 효과를 최대한 나타내는 태권도 시범을 기존 시범 이외의 좀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태권도시범Ⅱ(Taekwondo DemonstrationⅡ)
현장시범을 통하여 자신에 힘과 스피드 정신적 역량을 보이며 태권도에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시범을 보이는 데에 있어서는 시간과 장소 및 시기를 구분하지 않고 시범의 효과에 완성도를 창출해 낸다.
태권도겨루기Ⅰ(Competition of Taekwondo Ⅰ)
태권도가 세계적으로 가장 뛰어난 무도로서 인정받는데 가장 커다란 공헌을 한 태권도 겨루기의 이론적인 측면, 즉 신체적인 면, 정신적인 면, 기술적인 면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특히 스텝전법 등을 다루어 학생들의 겨루기 능력을 배양하여 우수한 지도자로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태권도겨루기Ⅱ(Competition of Taekwondo Ⅱ)
태권도 겨루기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체계를 습득하고 이를 반복숙달하며 지도능력 및 전술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술능력을 갖추어 경기에 출전하고 경기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유아체육(Infant Physical Education Loan)
유아체육의 최근 경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장에서 유아체육지도자로서 갖추어야할 이론과 실제에 대해서 깊이 있게 접근하여 지도 할 수 있는 능력과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창작품새(Creative Shape)
태권도 동작의 기본동작, 겨루기, 격파, 호신술 등의 복습과 자신이 설정한 원리에 따른 창작하여 실습한다.
교육학개론(Introduction to Education)
교육학개론은 교육현상에 대해 기본적이며 포괄적인 접근을 통하여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의의를 파악함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계속되는 교육학적 이론과 실제의 기초를 확고히 구축함에 그 목적이 있다.
실기교육방법론(Theories of Practical Education Method)
중ㆍ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실기과목에 관한 것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가르쳐 학습능률을 증진시킬 것인가를 다룬다. 즉 실기교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도록 강의법, 교수안의 내용, 시간, 계획, 내용의 중요도 분석 등 교육전반에 걸쳐 교육과정과 원리의 실제면을 다룬다.